
I started watching this Korean drama entitled, “Sisyphus, the Myth.” I’m only two episodes in and I’m already not liking it. I can’t stand Tony Stark and the Tony Stark fantasy. I can’t stand how Koreans and Marvel fans love and worship the idea of a genius billionaire, when billionaires should be villified for hoarding wealth. The main character is basically a Tony Stark type and the first episode couldn’t help but cheese me out a bit in building him up. The filming and the writing, while very ambitious, also reeked of ambitiousness. It’s very hard to explain, but it reminds me of the first two episodes of Star Trek Picard, with the mixture of action, mystery, and plot holes.
한국 드라마 ‘Sisyphys, the Myth’을 보기 시작 했어요. 2 화 밖에 안 보아는데 벌써 좋아하지 않은것 같아요. Tony Stark와 Tony Stark의 환상을 참을 수 없어요. 억만 장자가 부를 축적해야하는 상황에서 한국인과 Marvel 팬들이 천재 억만 장자에 대한 아이디어를 어떻게 사랑하고 숭배하는지 이해 할 수 없어요. 주인공은 기본적으로 Tony Stark 유형이며 첫 번째 에피소드는 그는 약간이 즘 너무 진부해요. 촬영과 글쓰기는 매우 야심적이면서도 야심이 넘쳤어요.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액션, 미스터리, 이야기의 불일치 혼합 된 Star Trek Picard의 처음 두 에피소드를 생각 나게했어요.
So instead of the drama “Sisyphus, the Myth,” let me just quickly discuss “The Myth of Sisyphus” instead, a book by Camus, the one which I suspect the writers borrowed the title from. As I understood it, the book looks at absurdist philosophy. Life is essentially absurd. We toil all of our lives and the world constantly brings us unexpected hardships. And the closer we are to achieving our dreams as we age, for the lucky few that is, the closer we are to death. Now, looking at the absurd nature of life, isn’t the most logical solution suicide? After all, if you’re in an absurd relationship or stuck in an absurd job, isn’t the most logical solution to just quit?
그래서 드라마 “Sisyphus, the Myth”대신에, Camus의 책인 “The Myth of Sisyphus”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하겠습니다, 그 드라마를 제목이 빌린 것으로 의심됬어요. 내가 이해했듯에 이 책은 터무니없는 철학을 본이요. 인생은 본질적으로 터무니 없어요. 우리는 모든 삶을 일하며 세상은 끊임없이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겪서요. 그리고 우리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꿈을 이루는 데 가까울수록 죽음에 가까워집니다. 자, 인생의 어리석은 본질을 보면 가장 논리적 인 해결책은 자살 아니애요? 헊시, 어리석은 관계에 있거나 어리석은 직업에 갇혀 있다면 그만두는 가장 논리적 인 해결책이 아닙니까?
Now, I’m guessing the Korean drama will be touching up on the absurdity of life since the show deals with time travel, etc. But yeah, that’s the last time I mention that show.
이제 그 드라마가 time travel등을 다룬 쇼이기 때문에 인생의 부조리에 대한 이야기가 될 것 같아요. 하지만, 이게 그 드라마에 대해 마지막으로 말해요.
But thinking about aging and death. I suppose this is the reason why young people are generally seen as more attractive than people who are more mature. Forget biology and the ability to procreate. Young people are much farther from death than people who are older. The touch of death, as it starts getting in people’s skin, they become less attractive.
그러나 노화와 죽음에 대해 생각하며, 이것이 젊은이들이 일반적으로 더 성숙한 사람들보다 더 매력적으로 여겨지는 이유라고 생각해요. 생물학과 번식 능력을 잊으십시오. 젊은 사람들은 나이가 많은 사람들보다 죽음에서 훨씬 더 멀렸어요. 사람들이 죽음의 손길와 냄세를 피부에 들어가기 시작하면서 덜 매력적이됬어요.
Another thing which I found interesting about the book is the idea that “if the world were not absurd, art would not exist.” This is similar to the old idea of art illuminating truths, that artists see the world in a certain way, and use art to express the truths that they see. These all sound very lofty, which makes me wonder why artists are often undervalued as a calling or profession. Unless you’re making millions out of your art, it’s often just treated as a quirky hobby.
이 책에서 흥미로운 또 다른 점은“세상이 어리석지 않으면 예술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요. 이것은 예술이 진실을 말하는 오래된 아이디어가 비슷해요. 예술가들은 세상을 특정한 방식으로 보고, 그들이 보는 진실을 표현하기 위해 예술을 사용해요. 이것들은 모두 매우 고상하게 들리는데, 왜 예술가들이 자주 부름이나 직업으로 저평가되는지 궁금해요. 예술로 수백만 달러를 벌지 않는 한, 그것은 보통 그냥 흥미로운 취미로 취급되요.
Actually, this kinda reminds me of an episode of Peep Show, where a woman was complaining about all of the bad news on the news, “What about the good news? The news where things actually went well?” Well, if the news was like that, it would just be a long, insufferable list of observations of things functioning as they are. The news needs tragedy, otherwise it won’t be news. That’s why I can’t stand news that aren’t really news, like the announcement of the oldest person in the world. There will always be a new oldest person in the world. As Camus would probably attest, the oldest person in the world is probably the one closest to death.
사실, 이것은 Peep Show의 에피소드를 생각 나게해 한 여성이 뉴스의 모든 나쁜 소식에 대해 불평하고 있어요. “좋은 뉴스은 어떻습니까? 실제로 잘된 뉴스?” 글쎄요, 만약 뉴스가 그랬다면, 그것이 그대로 기능하는 것에 대한 관찰의 길고 참을 수없는 목록 일 것이요. 뉴스에는 비극이 필요해요. 그렇지 않으면 뉴스가 아니요. 그래서 세상에서 가장 나이 많은 사람의 발표처럼 진짜 뉴스가 아닌 뉴스를 싫어요. 항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사람이있을 것이요. Camus가 생각했듯이 세상에서 가장 나이 많은 사람은 아마도 죽음에 가장 가까운 사람 일 것이요.